오늘은 인터넷선, 랜선, RJ45 커넥터, UTP케이블등으로 불리는 녀석을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다이소에서 간단히 사도 되겠지만 딱 맞는 길이가 없어 좀 모자르거나 너무 많이 남아 미관상 좋지 않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필요한 길이자 아주 길이가 긴 경우도 있구요.
먼저 장비 소개입니다.
준비물
클림핑툴이라는 찝는도구, 왼쪽에 있는 종이박스에 들어 있는 RJ45 커넥터, 니퍼(가위도 됩니다.), 케이블 스트리퍼(탈피기), UTP케이블(랜선) 되겠습니다.
좀 불편하긴 합니다만 이것들 중에서 UTP케이블과 RJ45 커넥터(그러니까 선과 꼭다리)만 있으면 만들수는 있습니다.
참, 만드실때 꼭다리는 좋은걸로 사세요. 요것 때문에 고생한 적이 있어서 저는 다소 비싸더라도
AMP를 씁니다.
작업순서
케이블 스트리퍼를 이용 케이블 외피를 벗겨냅니다.
케이블 커터가 없을 경우 칼이나 가위를 이용합니다.
개인적으로 가위를 추천합니다.
외피를 벗겨낸 모습이구요. 벗겨내는 길이는 3센티정도면 적당 할 것입니다.
벌려보면 8가닥의 선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배열하세요.
사진의 배열이 100메가를 지원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와이어링입니다.
물론 마구잡이로 양끝을 1:1로만 해도 되지만 원칙이라는건 있으니까요.
이 와이어링은 EIA/TIA 568B라는 와이어링입니다.
제조사별로 색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띠주-주-띠녹-파-띠파-녹-띠갈-갈
외우지 않으셔도 되고 필요하면 인터넷 찾아보시면 됩니다.
불꽃놀이 같지 않나요? ^^
그리곤 그 순서대로 모으로 니퍼(니빠)로 가지런히 잘라 줍니다.
사실 가위가 더 좋지만 요거 하나할라고 도구를 너무 많이 쓰는것 같아 그냥 니퍼로 합니다.
이 때 남기는 선의 길이가 중요합니다. 너무 길면 꼭다리에 외피가 찝히지 않아
빠질 위험이 있으며
너무 짧으면 8개의 가닥이 8개의 핀(자세히 보면 작두처럼 생겼습니다.)에 물리지가 않을 수
있습니다.
1.2 ~1.5센티가 적당하나 찍을때마다 잴수도 없고 여러번찍다가 실패좀 하면 감이 옵니다.
다음은 가지런히 자른 선들을 조용히 밀어 넣습니다.
이때 꼭다리의 방향을 주의하세요
꼭다리의 한쪽면에는 걸쇠같은 게 달려 있고 반대편은 그게 없습니다.
걸쇠가 없는 곳을 편의상 배라고 하겠습니다.
배를 보고 선을 서랍에 밀어 넣듯이 밀어 넣으면 볼링의 레인처럼 생긴 홈을 따라 선들이 제각기 레인
을 따라 밀려 들어갑니다.
그러니까 주황색띠선이 배의 맨 왼쪽 1번레인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다는 느낌이 들면 꼭 밀어 넣습니다. 이리저리 여러 방향에서 힘을 주고
8가닥의 선이 끝까지 밀려 들어가야 합니다.
한가닥이라도 제대로 들어가지 않으면 인터넷이 안될수도 있으니까요.
저 같은 경우는 앞면을 보아 선이 꼭다리 끝부분에 밀착이 되었는지로 확인 합니다.
(사진에는 포커스가 맞지 않아 제대로 나오지 않았네요. T T )
그리고 나서는 클림핑툴을 이용하여 찝습니다.
악수하듯이 꼬옥 한번에 잡습니다.
이 툴은 전자부품가게에 가면 가격대가 다양하니 기호대로 골라서 사시면 됩니다.
만약 이 마저도 비싸다고 생각하신다면 꼭다리의 배부분에 있는 일자홈에 일자드라이버 같은
것으로 눌러 외피를 고정시키고 작은 핀들을 역시 하나씩 눌러서 찝을수도 있다고 합니다.
저는 아직 해보지 않았습니다.
자 이제 완성된 모습입니다.
사진으로 보니 등부분의 걸쇠에 AMP라고 각인되어 있네요.
어때요 간단하죠? ^^
사실 처음 해보시는 분들에겐 간단하지 않습니다.
근데 라인공사 하시는 분들은 눈감고도 합니다. ^^
저는 할때 마다 인터넷 보고 합니다.
실제 해보면 설명과 사진이 많아서 그렇지 단순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lphi7 에서 Indy 업데이트 하는 방법 (0) | 2020.10.29 |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구 스토어팜) 주문내역 프린트 프로그램 (5) | 2020.10.23 |
POS 주방 벨 (1) | 2020.09.28 |
AWS에 MS-SQL Server(SSMS)연결하기 (0) | 2020.09.27 |
MS-SQL Server Express 2017 sa 로그인 설정 (0) | 2020.09.27 |